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

(3)
2024 오픈소스 말웨어 현황 보고서 2024년은 오픈소스 말웨어 또는 악성 오픈소스 패키지가 만연한 한해였습니다. 그리고 내년에도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면서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에 엄청난 위험을 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코딩 과정에서의 실수로 발생하는 취약점과는 다르게 오픈소스 말웨어는 소프트웨어 공급망을 공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개발된 산물입니다. 소나타입에 따르면 50%의 보호받지 않은 리포지토리가 이미 오픈소스 말웨어를 캐시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024년 소프트웨어 공급망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소나타입은 동년대비 156% 증가된 악성 패키지가 발견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소나타입은 2019년 첫 보고서를 발간한 이후, 약 778,529개의 오픈소스 말웨어를 발견하였고, 작년 10월 연간 보고서를 발간한 이..
오픈소스의 편리함을 즐기고, 위험성을 막기 위해 필요한 것 2021년 12월 9일, 아파치 ‘Log4j 2’라는 오픈소스 유틸리티에서 역사상 최악의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Log4j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깅(이벤트 기록)을 구현할 때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다. 전 세계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었고, 국내도 예외는 아니었다. Log4j 2에 취약점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기업들은 당연히 취약점이 없는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려고 나섰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어느 부분에 Log4j가 사용되었는지 알기가 어려웠다. “소프트웨어도 자재명세서가 필요해”현대의 소프트웨어 개발은 개발자가 한땀한땀 코딩을 하는 것이 아니다. 시중에 존재하는 오픈소스나 컴포넌트를 조합하면서 자신만의 코드를 더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자동차 제조사가 바퀴나 시트까지..
파이선 리포지토리 PyPI 악성패키지 유포 최근 Sonatype의 보안시스템에서 Python Public Repository인 PyPI에서 “pytoileur”이라는 악성패키지를 탐지하였습니다. 해당 패키지는 악성코드를 은닉하여 윈도우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Sonatype 보안팀에 의하여 sonatype-2024-1783으로 트래킹되고 있는 이 패키지는 약 260여 회 이상 다운로드 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PyPI 관리자에게 패키지 삭제를 요청하였습니다. 패키지 버전 1.0.1과 1.0.2에 대한 분석이 이뤄졌고, 두 버전의 기능은 동일합니다. pytoileur는 동일 패키지를 Stack Overflow 를 비롯한 온라인 커뮤니티로도 유포하고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참고로 악성코드를 은닉한 방식은 “..